2024 수시 전형, 농어촌전형 조건 및 지원 가능한 지역은?

 

1. 대학 입시를 위한 수시 전형 종류

대학 입시는 모든 초,중,고등학생들의 목표와 같습니다. 총 12년의 시간을 대학 입시를 위한 치열한 경쟁을 하는 셈인데요. 대학 입시의 목표는 같지만, 대학에 입학하기 위한 방법은 다양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학생들은 자신에게 알맞은 입시 방법을 선택하고 전략을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대학 입시를 위한 방법으로는 크게 정시와 수시가 있습니다. 대학 수시 전형은 논술전형, 학생부종합전형, 농어촌전형 등 다양한데요. 이번 글에서는 그 중 농어촌전형에 대하여 농어촌전형 조건, 지원 가능한 지역, 주의사항 등에 대해 자세히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 다양한 수시 전형 중 논술 전형 합격 비결이 궁금하다면?

 

2. 지원 가능한 농어촌전형 지역

농어촌전형 지역, 농어촌전형 조건, 2024 수시, 수시 전형, 대학 입시,

<출처> 시사IN

2024 수시 전형 중 농어촌전형은 전체 대학 모집정원의 4% 이내의 학생을 선발합니다. 이는 대통령령 제32895호 고등교육법 시행령 제29조 2항 14조에 의거하여 대한민국의 모든 대학에서 이뤄지고 있습니다. 농어촌전형은 도시 지역에 비해 교육 인프라가 부족한 농어촌 지역을 활성화하고 농어촌 거주 학생들의 입시를 지원하기 위해 만들어진 대학 입시 전형입니다. 따라서 해당 전형에 지원하기 위해서는 본인의 거주지가 지원 가능한농어촌전형 지역에 해당하는지 확인하는 것이 우선입니다.

농어촌전형 지역은 법적으로 농어촌으로 분류된 지역만을 의미합니다. 아래 두 가지에 해당되는 곳이 지원 가능한 농어촌전형 지역입니다.

  • [지방자치법] 제 3조에 의한 읍/면 지역
  • [도서 벽지 교육진흥법] 제 2조에 의한 도서 및 벽지 지역

다시 말해, 지원 가능한 농어촌 지역은 행정 구역의 명칭이 읍/면이어야 한다는 의미인데요. 여기서 읍/면은 광역시, 도 또는 도/농 통합 시 관할 구역 안에 있는 읍, 면까지 포함됩니다.

 

 

3. 지원 전 반드시 체크해야 할, 농어촌전형 조건

수능 선택과목, 2024 수능, 선택과목 추천, 수능 사탐, 수능 과탐

2024 수시 입시를 농어촌전형으로 고려하고 있다면 농어촌전형 지역만 맞게 거주하고 있으면 될까요? 그렇지 않습니다. 농어촌전형 지역 거주 시 아래 두 가지 중 한 가지의 농어촌전형 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조건 1) 본인만 거주

농어촌전형 지역의 읍/면 소재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에서 전 교육 과정 12년을 이수하고 재학 기간 중 본인이 농어촌 지역에 거주한 경우 자격 요건을 가지게 됩니다. 이 조건의 경우 부모의 거주 지역이나 기간은 적용하지 않습니다.

 

조건 2) 본인과 부모 모두 거주

농어촌전형 지역의 읍/면 소재 중학교, 고등학교에서 전 교육 과정 6년을 이수하고, 재학 기간 중 본인과 부/모 모두가 농어촌전형 지역에 거주한 경우 자격 요건을 가지게 됩니다. 이 조건의 경우 재학 기간 6년 동안 부모 중 어느 한 쪽도 도서 지역으로 전출입하는 일이 없어야 합니다.

 

❗참고) 농어촌전형 주의 사항

농어촌전형 조건과 함께 농어촌전형 지원 시, 주의사항도 알아보겠습니다.

  • 고등학교 졸업일까지 반드시 읍/면 또는 도서/벽지 지역에 거주해야 합니다. 만약 고등학교 졸업 전 거주지가 변경될 경우 입학이 취소될 수 있습니다.
  • 읍/면 또는 도서/벽지 지역 소재의 과학고, 영재고, 외국어고, 국제고, 예술고 등 특수 목적고는 인정하지 않습니다.
  • 재학 기간 중 2개 이상의 학교에서 재학한 경우 해당 학교 모두가 반드시 읍/면 또는 도서/벽지 지역에 소재해야 하되, 동일한 지역이 아니어도 무방합니다.
  • 재학 기간 중 행정 구역 개편 등으로 읍/면 지역이 동 지역으로 변경된 경우에는 해당 학교 재학 기간 중 당해 지역을 읍/면 지역으로 인정합니다.
  • 부모의 사망, 이혼 등의 경우에는 양육권을 우선으로 하며, 이를 포함한 지원 자격과 관련하여 별도로  심사할 수 있습니다.
  • 대학교마다 지원 불가능한 학과가 존재합니다. 따라서 본인이 희망하는 학교와 학과에서 농어촌전형 선발 인원이 있는지 확인을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입시 정보에 빠삭한 엄마들끼리만 아는, 농어촌전형 주의사항은 없을까?

 

4. 일반 수시 전형 vs 농어촌전형 경쟁률 비교

농어촌전형 지역, 농어촌전형 조건, 2024 수시, 수시 전형, 대학 입시,

<출처> 삼육대학교 뉴스

2024 수시 전형 합격을 위해 농어촌전형 조건과 함께, 마지막으로 서울 상위 10개 대학에서의 2023 수시 전형 경쟁률과 농어촌전형의 경쟁률을 비교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 서울대학교-일반 수시 경쟁률 6.86:1 / 농어촌전형 5.32:1
  • 고려대학교-일반 수시 경쟁률 14.09:1 / 농어촌전형 10.04:1
  • 연세대학교-일반 수시 경쟁률 12.69:1 / 농어촌전형 6.83:1
  • 성균관대학교-일반 수시 경쟁률 28.53:1 / 농어촌전형 8.58:1
  • 한양대학교-일반 수시 경쟁률 26.43:1 / 농어촌전형 8.15:1
  • 이화여자대학교-일반 수시 경쟁률 12.86:1 / 농어촌전형 6.85:1
  • 서강대학교-일반 수시 경쟁률 27.15:1 / 농어촌전형 14.52:1
  • 중앙대학교-일반 수시 경쟁률 24.7:1 / 농어촌전형 10.39:1
  • 경희대학교-일반 수시 경쟁률 22.9:1 / 농어촌전형 11.78:1
  • 동국대학교-일반 수시 경쟁률 6.86:1 / 농어촌전형 8.97:1

오늘은 대학 입시를 위한 수시 전형인 농어촌전형 지역, 조건, 주의사항, 그리고 경쟁률까지 비교하며 알아 보았습니다. 농어촌전형으로 지원할 의향이 있다면, 이번 글을 통해 본인에게 유리한 전형이 맞는지 파악하고 성공적인 전략을 세우는 것에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2024 수시 전형 합격을 성공을 위한 멘토를 찾고 싶다면?

김과외에서 멘토 찾기

 

댓글 남기기

%d